오프더레코드 뜻

"오프더레코드(off the record)"는 공식적인 발언이나 기록으로 남기지 않는, 비공개로 이루어지는 발언이나 대화를 의미합니다.
주로 언론과의 인터뷰나 공식적인 회의에서, 발언자가 자신의 말이 보도되거나 기록으로 남지 않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발언자가 좀 더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민감한 정보의 공개를 피하고자 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
오프 더 레코드의 사용은 신뢰와 책임감을 기반으로 합니다. 발언자는 자신의 말이 기록되거나 보도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하에 보다 솔직하고 개방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를 받는 측은 해당 정보를 취급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발언자와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프 더 레코드는 때때로 민감한 주제에 대한 토론이나 의견 교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정보의 소스를 보호하면서도 중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 용어의 사용은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양측 간의 신뢰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오프 더 레코드(off the record) 관련하여 특정하게 유명한 사례를 지목하기는 어렵지만, 주로 언론과 정치인, 기업 리더들 사이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오프 더 레코드의 본질이 공개되지 않으려는 의도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프 더 레코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인이 기자와의 비공개 대화에서 미래 정책에 대한 힌트를 주거나,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투자자들과의 비공식 미팅에서 회사의 미래 전략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정보는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언론인이나 다른 참석자들은 이를 직접적으로 보도하거나 공개할 수 없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존 케리 후보가 기자들과의 비공식 대화에서 자신의 베트남 전쟁 당시 활동에 대해 언급한 것이 있습니다. 이 대화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일었고, 이는 그의 선거 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처럼 오프 더 레코드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의 교환에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내용이 공개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프 더 레코드로 진행되는 대화는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엠바고와 오프 더 레코드 다른 점
"엠바고(Embargo)"와 "오프 더 레코드(Off the record)"는 정보 공개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사용 목적과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엠바고(Embargo):
- 엠바고는 특정 정보나 뉴스가 미리 특정 기자나 미디어에게 제공되지만, 사전에 정해진 시간이나 조건이 충족되기 전까지는 그 정보가 공개되어서는 안 된다는 약속입니다.
- 엠바고의 목적은 정보의 동시적이고 조직적인 공개를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연구 결과나 제품 발표가 특정 시점에 맞춰 공개되어야 할 때 사용됩니다.
- 엠바고를 지키는 것은 언론사와 정보 제공자 간의 신뢰 관계에 기반합니다. 엠바고를 어길 경우, 해당 언론사는 향후 정보 접근에서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오프 더 레코드(Off the record):
- 오프 더 레코드는 정보나 발언이 공식적으로 기록되거나 보도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정보의 소스 보호나 민감한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 오프 더 레코드의 목적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 자신의 의견이나 정보를 자유롭게 표현하면서도, 그 정보가 공개되는 것을 원치 않을 때 사용됩니다.
- 이 경우, 정보를 받는 사람은 그 정보를 보도하거나 공개할 수 없으며, 정보의 출처도 밝힐 수 없습니다. 정보의 공개 여부는 전적으로 정보 제공자의 의지에 달려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엠바고는 정보가 특정 시점에 공개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반면, 오프 더 레코드는 정보가 공식적으로 기록되거나 보도되어서는 안 된다는 약속입니다. 두 용어 모두 정보의 공개와 관련되어 있지만, 그 목적과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사이버불링 뜻 피해 사례 해결방안
사이버불링 뜻 사이버불링은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바일 기기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적대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온라인상에서의 모욕, 위협,
sweetsoo20.tistory.com
어그로 뜻 어그로 끌다 어원 유래 장단점
어그로 뜻과 유래 "어그로"는 인터넷 용어로, 주로 온라인 커뮤니티나 게임에서 사용되는 말입니다. 원래는 게임 용어로, 몬스터의 주의나 공격을 자신에게 끌어들이는 행동을 의미하는 'Aggro'에
sweetsoo20.tistory.com
'그단어궁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고지신 溫故知新 뜻 유래 교훈 (1) | 2024.04.20 |
---|---|
조삼모사 뜻 유래 교훈 (2) | 2024.04.20 |
호사다마 뜻 교훈 (1) | 2024.04.20 |
슈퍼문 블루문 슈퍼블루문 (0) | 2024.04.19 |
버튜버(VTuber)뜻 콘텐츠 크리에이터 기술 및 활동 (0) | 2024.04.17 |
댓글